
[중앙이코노미뉴스 김수현]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내부통제 실패는 개별 금융사 문제에 그치지 않고 금융시장의 신뢰를 무너뜨리는 결과를 초래하며, 신뢰를 잃은 금융시장은 성장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5일 이 원장은 서울 금융투자협회에서 24개 주요 증권사 최고경영자(CEO)와 간담회 모두발언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 원장은 “증권업계에도 책무구조도가 도입되는 만큼, 증권업 고유의 업무특성을 반영해 책임과 역할을 명확히 해야한다”라고 하며 “투자자 보호 강화, 상시점검체계 마련 등 내부통제 시스템을 정교하게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그는 “업계 일부에서 발생한 불완전판매, 임직원 사익추구 등 불건전 영업행위는 안타까운 부분이다”며 금융당국의 엄정한 대응은 신뢰 회복을 위한 필연적인 과정이었고, 이러한 노력이 증권산업의 미래 성장에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이 원장은 은행산업이 안정적으로 물을 제공하는 견고한 댐이라면, 증권산업은 물길을 만들어가는 혁신의 격류가 돼야 한다면서 단기수익 중심의 경영관행에서 벗어나 신산업분야 발굴, 투자방식 확대, 장기적 관점의 포트폴리오 구성 등 지속 가능한 투자전략을 실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내 증권사는 자본규모나 수익성 측면에서 글로벌 투자은행(IB)에 비해 열세인 만큼, 인공지능(AI)·빅데이터·블록체인 등 신기술 투자를 확대하고, 디지털 금융 인프라를 고도화해 IB업무역량을 강화하고, 새로운 비즈니스모델을 모색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 원장은 “기업과 주주 간 투명한 소통은 투자자 신뢰를 구축하는 중요한 과정”이라며 “증권업계는 기업의 성장을 지원하는 동시에 기관투자자로서의 견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증권사 CEO들은 이 자리에서 해외에서 스테이블 코인 등 새로운 결제 수단이 확산하는 상황에서 증권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증권사 법인 지급결제 허용 등 업무 범위 확대가 필요하다고 했다. 또 가상자산 상장지수펀드(ETF) 허용도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이와 함께 모험자본 공급 확대를 위해 초대형 IB의 역할 확대와 발행어음 활성화도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기업밸류업 프로그램 참여 확대를 위한 세제지원방안을 조속히 시행하고, 기업 지배구조 개혁, 스튜어드십 코드 강화, 기관투자자의 적극적 주주권 행사를 건의했다.
은행 지주계열 증권사 4곳은 국제결제은행(BIS) 규제를 적용받아 독립계 증권사 대비 자본 활용에 제약이 있다며, 지배구조로 인한 규제 차별을 해소하기 위해 금융지주 BIS비율 산정시 증권사의 연결 예외 검토도 요청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