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이코노미뉴스 엄현식] 부산 어묵 한개 3천원, 해삼 한 접시 7만원.
최근 부산 기장군의 노점상과 자갈치 시장에서 바가지 논란이 일어났다. 뿐만 아니라 오는 11월 부산불꽃축제를 앞두고 숙박비가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숙박 중계 플랫폼인 에어비앤비를 확인해 본 결과, 오는 11월 15일 부산불꽃축제가 열리는 날 부산 수영구 광안리 해수욕장 바로 앞 숙박업소의 하루 숙박비는 100만원을 훌쩍 넘는 가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원룸형 숙소는 대부분이 115만원대에서 150만원대 가격으로 판매하고 있고, 투룸형의 경우는 180만원을 넘기도 했다.
해당 업소의 10월 주말 평균 숙박비는 하루 20만∼30만원 수준이다.
지난 7월에는 부산불꽃축제 날짜 변경을 뒤늦게 인지한 한 숙박업주가 기존 예약 손님에게 거액의 추가 요금을 요구했다가 관할 지자체에 신고되기도 했다.
관광객들의 상대로 바가지 요금이 논란을 빚자 정부에서도 행정지도 이상이 벌금 체계 마련을 지시하는 등 강력한 조치를 마련하고 있다.
지자체에서도 전통시장 상인회 등과 협력하거나 바가지요금 근절과 관련한 캠페인을 진행하는 등 대책을 내놓았다.
하지만 행정조치가 무색하게 가격은 쉽게 꺼지지 않고 있다.
언론 취재에 따르면 부산시는 바가지 요금 자체를 단속한 근거는 없다고 한다. 가격을 미리 표시하지 않았거나, 표시한 가격과 다르게 받은 경우에만 법적 조치를 할 수 있다는 것.
부산불꽃축제는 거액의 시민 혈세가 투입되는 만큼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정부가 내수진작을 위한 여러 조치를 취하는 상황에서 일부 상인들의 바가지 요금 행태로 인해 국내 여행지를 기피하고 해외로 내모는 일은 없어야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