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
[사진=연합]

[중앙이코노미뉴스 엄현식] 농촌진흥청은 자동화·데이터화 중심의 디지털 농업으로 전환하는 데 필요한 핵심 기술인 '표현체 영상분석 기술'을 다양한 농업현장에 적용하고 있다고 1일 밝혔다.

표현체 영상분석 기술을 적용하면 대량의 종자 특성을 빠르고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종자 한 개의 크기·색상·모양·표면 질감 등 11가지 특성 분석에 걸리는 시간은 사람은 5분이지만 표현체 영상분석 기술은 단 1초다.

육종 현장에서 4만개 종자분석 시 표현체 영상분석 기술을 활용하면 4명이 하던 일을 1명이 할 수 있으며, 소요 시간은 40일에서 1일로 줄어든다.

이 기술은 밀, 콩, 옥수수, 고추, 수박 등 상업용 종자 62종에 성공적으로 적용해 특성 분석을 자동화했다. 분석 정확도는 97%로 미국, 유럽 등 선진국과 비슷한 세계 최고 수준이다.

실제 국립종자원의 품종 등록 프로그램 개발, 한국원자력연구원의 밀·수수 일반종자와 돌연변이 종자 구분, 생명정보기업의 플랫폼을 통한 형질 자동분석 서비스, 산업체의 민간보급용 작물 영상 촬영 장치 개발 등에 사용하고 있다.

또 당도 높은 딸기 선발, 흠집이나 멍든 사과 골라내기, 크기가 제각각인 팽이버섯 갓의 수 계산, 옥수수 크기와 낟알 수 확인, 꽃과 과일의 수확시기 예측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표현체 영상분석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농진청은 앞으로 민간에서 요구도가 높은 밀, 콩, 옥수수, 고추 등 주요 작물 65종을 대상으로 표현체 데이터 확보, 슈퍼컴퓨터와 연계한 분석 등 디지털 육종을 위한 플랫폼을 개발할 예정이다.

김남정 농진청 농업생명자원부장은 "새 정부 국정과제인 스마트 농업 고도화 정책에 부응하는 이 기술은 농업의 디지털 혁신을 가져올 것"이라며 "이 기술을 활용하면 현장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미래 먹거리를 개척하는 원동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앙이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