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보험 상위 4개사 3분기 누적 995억원 적자
삼성화재, 3분기 실적 발표서 "내년 보험료 인상 불가피"
정부 포용금융, 내년 지방선거…업계 "보험료 인하만은 막자"

자동차보험료 인상. [사진=연합뉴스]
자동차보험료 인상. [사진=연합뉴스]

[중앙이코노미뉴스 정재혁] 손해보험업계가 자동차보험 손해율을 악화로 몸살을 앓고 있다. 손해율 개선을 위해선 보험료 인상이 불가피하지만, 소비자 보호와 '포용금융'을 강조하는 현 정부 기조에선 쉽사리 보험료를 올리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0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자동차보험 '빅4' 손보사(삼성화재·현대해상·DB손해보험·KB손해보험)의 올 3분기 자동차보험 누적 손익은 955억 적자다. 지난해 같은 기간 5079억원의 흑자를 낸 바 있다. 4개사의 3분기 말 누적 손해율은 지난해 81.1%에서 올해 85.4%로 4.3%p 상승했다.

회사별로는 △KB손해보험 –442억원 △삼성화재 –341억원 △현대해상 –390억원 △DB손해보험 218억원 등이다. DB손보 외 3개사가 모두 적자로 돌아섰다.

4분기 전망 역시 비관적이다. 겨울철에는 한파와 폭설 등의 영향으로 손해율이 치솟는 경향이 있다. 일각에선 빅4 손보사의 연간 자동차보험 적자 규모가 5000억원에 달할 것이란 전망까지 나왔다.

이에 업계 1위사인 삼성화재는 최근 3분기 실적 설명회에서 업계를 대표해 "내년 보험료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주요 손보사들은 지난 2022년부터 올해까지 4년 연속 자동차보험료를 인하했다. 자동차보험 요율은 각 회사 자율에 맡기고 있지만, 보험료가 소비자물가지수(CPI)에 포함돼 있어 정부가 물가 관리 차원에서 직간접적으로 개입하고 있다.

손보사들은 코로나 시기 이후 자동차보험에서 상당한 흑자를 냈기 때문에 정부의 보험료 인하 요구를 일정 부분 수용할 수 있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 이러한 특수가 사라지면서 보험료 인상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정부와 정치권이 업계 요구를 받아들일지는 의문이다. 사실상 의무보험 격인 자동차보험의 보험료가 인상될 경우 서민들의 반발이 거세질 것은 불 보듯 뻔하다. 당장 내년 지방선거가 예정돼 있어 '표심'에 민감한 정치권에선 여야를 가리지 않고 업계를 압박할 가능성이 크다.

손보업계 관계자는 "대형사 내부적으로 내년 최소 2~3%가량 자동차보험료 인상 요인이 있다고 보고 있지만, 정부 눈치에 뜻대로 실행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내년 지방선거 영향도 있어 업계에선 '보험료 인하만은 막자'라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앙이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