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 석좌교수·S/W 전문가 전진 배치...미래 기술 연구 강화
DX·DS 대표이사 투톱 체제 복원...핵심 사업 안정·경쟁력 강화

[중앙이코노미뉴스 김국헌] 삼성전자가 21일 2026년 정기 사장단 인사를 단행했다. 이번 인사는 사장 승진 1명, 위촉업무 변경 3명 등 총 4명 규모로, ‘인재 제일’ 기조와 기술 중심 경영전략이 두드러졌다는 평가다.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DX(디바이스경험)·DS(디바이스솔루션) 양대 사업부를 이끄는 사장단 체제의 재정비와 함께 미래 기술을 이끌 핵심 인재를 과감히 전면 배치한 부분이다.

삼성벤처투자 대표이사였던 윤장현 부사장이 DX부문 CTO 사장 겸 삼성리서치(SR)장으로 승진했다. 윤 사장은 MX사업부 IoT & Tizen 개발, 소프트웨어 플랫폼, S/W총괄 등을 역임한 소프트웨어 전문가로 최근에는 AI·로봇·바이오·반도체 등 유망 기술 투자를 주도해왔다.

삼성전자는 윤 사장이 모바일·TV·가전 등 주력사업과 AI·로봇 분야 간의 기술 시너지를 강화할 적임자라고 평가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Harvard대 석좌교수 박홍근을 신임 SAIT(삼성종합기술원) 원장(사장급)으로 영입했다. 박 사장은 나노 기술과 기초과학 전반을 아우르는 글로벌 석학으로, 양자컴퓨팅·뉴로모픽 반도체 등 삼성전자의 미래 디바이스 연구를 총괄하게 된다. 입사 시점은 2026년 1월 1일이다.

2인 대표 체제복원...전영현, 노태문 투톱 체제

삼성전자는 이번 인사에서 2인 대표 체제를 복원했다.

전영현 DS부문장 겸 메모리사업부장은 대표이사 부회장으로 내정됐고, 노태문 DX부문장 직무대행 겸 MX사업부장은 대표이사 사장으로 내정됐다.

두 사람은 각각 메모리·모바일을 직접 총괄하며 사업부문 경쟁력 강화에 집중한다.

삼성전자는 글로벌 경쟁 심화 속에서 MX사업부장과 메모리사업부장 겸직 체제가 효과적이라는 판단 아래 기존 구성을 유지했다. 회사는 “주력 사업의 기술·제품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올해 이미 두 차례 수시인사를 통해 사장급 인사를 선제적으로 단행한 바 있다.

Galaxy S25 개발을 총괄한 최원준 부사장을 2025년 3월 MX사업부 COO 사장으로 승진시켰고, 3M·펩시코 최고 디자인 책임자를 지낸 마우로 포르치니를 DX부문 CDO 사장으로 영입했다.

삼성전자는 앞으로도 “우수 인재는 시기와 관계없이 승진·영입한다”는 수시 인사 기조를 유지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이번 인사에 대해 “불확실한 경영환경 속에서 핵심사업 경쟁력을 높이고 미래 기술을 선점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부사장 이하 임원 인사와 조직개편도 조만간 확정해 추가 발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중앙이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