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중심·사각지대 해소형 복지' 정책 강조
사업 6개월 만에 2800명 신청…100만 원 지원
![경기도청 전경. [사진=경기도]](https://cdn.joongangenews.com/news/photo/202511/468265_270284_242.jpg)
[중앙이코노미뉴스 김영철] 경기도가 올해 처음 시행한 '분만취약지 임산부 교통비 지원사업'이 도입 6개월 만에 3천 명에 육박하는 신청자를 기록하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김동연 지사가 강조해 온 '현장 중심·사각지대 해소형 복지' 정책이 도민 삶에 실질적 변화를 만들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24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올해 1월부터 가평군, 연천군, 포천시, 양평군, 여주시, 안성시 등 분만취약지 6곳을 대상으로 임산부 교통비 지원을 시행했다.
4월 접수 개시 이후 10월 말까지 총 2838명이 지원을 신청해, 당초 예상치 2400명을 크게 웃돌았다.
이 사업은 분만 의료기관이 없는 지역 임산부들이 장거리 이동으로 진료를 미루거나 산전·산후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련된 사업이다. 임신 기간 내 필요한 진료를 안정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교통비를 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다.
현장 반응도 긍정적이다. 출산을 앞둔 A씨는 "새벽에 양수 누출 의심 증상이 있어 급히 병원으로 이동했는데, 돌아와 교통비 지원을 받을 수 있어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외곽 지역에 거주하는 B씨도 "병원까지 가는 비용 부담 때문에 고민이 많았는데 지원 덕분에 필요한 검사를 제때 받을 수 있었다"고 전했다.
경기도는 "이번 사업은 단순한 경제적 보전이 아니라 필수 의료 접근성을 확보하는 안전망 역할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청 대상은 분만취약지에 6개월 이상 거주한 임산부(등록외국인 포함)이며, 임신 3개월부터 출산 후 3개월 이내 신청할 수 있다.
교통비는 1인당 최대 100만 원, 대중교통·택시·자가용 유류비 등을 카드 포인트 방식으로 차감해 사용할 수 있으며, 출산 후 6개월까지 사용 가능하다.
유영철 도 보건건강국장은 "분만 의료기관 부재로 인해 응급 상황에서 이동이 늦어지는 일이 없게 하는 것이 사업의 핵심"이라며 "현장 의견을 지속 반영해 임산부 의료 접근성을 더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