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이코노미뉴스 한상현] 한양대학교(총장 이기정)는 지난 17일 ERICA캠퍼스에서 ‘제3회 애스크톤(ASKTHON) 대회’를 개최했다. 'ASK'와 'Hackathon'의 결합인 애스크톤 대회는 이기정 총장이 새롭게 정립한 교육혁신 모델인 QBL(Question-Based Learning, 질문기반 학습)에 기반한 질문경진대회다.
올해는 ‘AI 시대의 인간’을 공통 주제로 설정해, 기술적 관점을 넘어 인간성·윤리·가치 등 근본적 질문을 성찰하도록 대회를 기획했다. 특히 질문 생성 과정에서 GPT, Claude, Perplexity 등 생성형 AI 도구와의 대화를 활용해 초기 질문을 확장하고 탐구 구조를 재구성하는 AI 기반 탐구 모델을 적용한 점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단순한 정보 탐색을 넘어, AI의 응답을 활용해 자신의 문제의식을 세밀하게 재정교화하며 질문을 다층적으로 발전시키는 탐구 경험을 수행했다.
제3회 애스크톤 대회에는 서울캠퍼스 54개 팀(134명), ERICA캠퍼스 39개 팀(93명) 등 총 93개 팀이 참가했다. 본선 진출팀들은 약 한 달간 영상 발표, 팀별 탐구 컨설팅, 집단지성 기반 온라인 브레인스토밍을 거치며 질문을 고도화했다. 온라인 브레인스토밍은 총 4,989회의 영상 시청과 3,897건의 댓글·반응이 기록되는 등 폭넓은 참여 속에서 진행됐다. 그 결과 예선·본선·결선 과정을 거쳐 대상 2팀, 최우수상 6팀, 우수상 10팀, 장려상 8팀이 선정됐다.
17일 시상식 및 공유회에는 이기정 총장을 비롯해 김민수 서울 부총장, 백동현 ERICA 부총장, 양 캠퍼스 교수진이 참석했으며, 카카오 이재승 리더, 건국대학교 김준익 교수 등 외부 전문가가 심층 평가에 참여했다. 대상·최우수상 팀 가운데 4개 팀이 무대에 올라 탐구 과정과 질문의 핵심을 발표했으며, 현장 학생들은 발표 내용에 대해 활발한 논의와 성찰을 이어갔다.
이기정 총장은 “AI는 정답을 제시할 수 있지만, ‘무엇을, 왜 물을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은 인간의 고유한 능력”이라며 “정답 중심의 학습을 넘어 질문을 만드는 능력이 핵심이 되는 시대에, 한양대 학생들이 질문을 통해 스스로 사고하고 성장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