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0~11월 이어 3연속 금리 인하 무산
1500원 바라보는 원‧달러 환율이 '발목'
국내 경기 부진에 금리 인하 요구 목소리↑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6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연합]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6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연합]

[중앙이코노미뉴스 정재혁]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3.00%로 동결했다. 경기 부진 영향으로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가 컸으나, 1500원을 넘보는 환율이 발목을 잡았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16일 새해 첫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3.00%로 유지했다고 밝혔다.

금통위는 지난해 경기와 성장 부진 징후가 뚜렷해지자 작년 10월과 11월 연속으로 기준금리를 각각 0.25%p 낮춘 바 있다. 이에 3연속 금리 인하 전망도 나왔지만, 금통위는 일단 '스톱'을 택했다.

금융권에선 높은 원/달러 환율이 금통위의 발목을 잡은 것으로 본다. 기준금리 추가 인하 시 미국과의 금리 격차가 더 벌어져 원화 가치 하락에 따른 환율의 추가 상승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특히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금리 인하 속도 조절에 나선 것도 동결 결정의 중요한 근거가 된 것으로 보인다.

작년 12월 FOMC 정례회의에서 공개된 새 점도표(FOMC 위원들의 향후 금리 수준 전망을 표시한 도표)를 보면, 연준 위원들은 올해 말 기준금리 전망치를 3.9%로 제시했다. 

이는 지난해 9월 전망치(3.4%)보다 0.5%p나 높아진 것으로, 현재 금리 수준(4.25∼4.50%)을 고려하면 올해 예상한 네 번이 아니라 두 번 정도만 더 내리겠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아울러 금통위 입장에선 오는 20일 트럼프 정부 2기 출범 이후 나올 정책의 윤곽, 28~29일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결과, 국내 추가경정예산(추경) 여부 등 추가 인하에 앞서 확인해야 할 부분들이 많다.

다만, 지난해 말 이후 계엄·탄핵 사태 등으로 인해 국내 소비·투자 등 내수 위축 우려가 더 커졌다는 점에서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목소리는 여전하다. 정치권도 경기 부양을 위해선 기준금리 인하가 필요하다며 한은을 압박하고 있다. 

저작권자 © 중앙이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