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체 개발 AI 솔루션…수출입 자동화 본격화
기업고객 손쉽게 수출 서류 하자 사전 점검

하나은행은 금융권 최초로 수출입 자동화를 위한 '비대면 AI 수출환어음매입 심사' 서비스를 시행한다. [사진=하나은행 제공]
하나은행은 금융권 최초로 수출입 자동화를 위한 '비대면 AI 수출환어음매입 심사' 서비스를 시행한다. [사진=하나은행 제공]

[중앙이코노미뉴스 문혜원] 하나은행이 '비대면 AI 수출환어음매입 심사'서비스를 본격 시행한다고 9일 밝혔다. 수출에 도전하는 초기 기업들도 손쉽게 서류 하자 여부를 사전 점검하고 보완할 수 있어 중소·중견기업의 해외 진출에도 실질적 도움이 될 전망이다.

이번 서비스는 외부 기술에 의존하지 않고 하나금융그룹의 독자적인 기술력으로 구현된 점이 특징이다.

앞서 하나은행은 지난해 6월 그룹 관계사인 하나금융티아이의 사내 독립 기업인 하나금융융합기술원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자체 개발한 AI-OCR 솔루션 '리딧(READIT)'을 수출입 업무에 도입한 바 있다.

기존에는 신용장 관련 전문 지식이 없으면 수출환어음매입 심사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이번 AI 기반 서비스 도입으로 비정형·복잡한 수출입 서류를 자동 분류하고 주요 정보를 신속·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어 오류 발생률을 크게 줄였다.

서비스는 기업 인터넷뱅킹을 이용하는 본점 심사 대상 기업을 우선 적용할 계획이다. 이에 기업 고객은 영업점 방문 전에도 수출 서류의 하자 여부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됐다.

하나은행 외환사업지원부 관계자는 "수출 업무 시 자주 발생하는 서류 하자 발생 리스크를 낮추는 차별화된 무역 자동화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며 "외환·수출입 업무에 강점을 가진 외국환 1등 은행으로서 기업의 수출입 거래 편의를 위한 혁신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중앙이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