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금융 잇는 개방형 플랫폼 ‘이음(E:UM)’ 공개
스타트업 접근성 확대 등 포용적 플랫폼 경제 기반 조성
![[이미지=우리은행]](https://cdn.joongangenews.com/news/photo/202506/425499_225901_2437.png)
[중앙이코노미뉴스 김수현] 우리은행은 지난달 29일 외부 기업이 우리은행의 금융 기능을 직접 연동해 활용할 수 있는 OpenAPI 플랫폼 ‘이음(E:UM)’을 오픈하고 본격적인 BaaS(Banking-as-a-Service) 금융사업 확대에 나선다고 10일 밝혔다.
BaaS금융은 금융사의 상품을 비금융사 플랫폼에 API 형태로 내재화해 소비자의 금융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이는 차세대 금융서비스다. 우리은행은 ‘이음(E:UM)’을 통해 비금융기업의 디지털 경쟁력 강화, 소상공인·스타트업의 금융 접근성 확대 등 포용적 플랫폼경제 기반을 조성할 방침이다.
이번에 선보인 ‘이음(E:UM)’은 ‘연결(Connection)’을 핵심 철학으로 기업과 사람, 산업과 금융을 잇는 디지털 기반의 개방형 플랫폼이다. 현재 우리은행이 보유한 계좌조회, 이체, 대출, 인증, 환율, 결제·정산 등 주요 금융 기능을 지원한다.
특히, 전용 비즈니스 포털도 함께 마련돼 단순 기술 연동을 넘어 개발자·기획자·사업자 간 제휴 및 협업 제안까지 가능한 BaaS 협력의 중심 채널로 운영된다.
향후에는 API 제공 범위를 금융 전반으로 확대하고, 외부 기업의 API 입점도 유도해 다양한 산업간 융합이 가능한 디지털 생태계로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이음(E:UM)은 디지털 시대의 연결성과 개방성을 바탕으로 금융 중심의 새로운 포용적 플랫폼경제 생태계 조성에 기여할 것”이라며, “자체 API 확대와 외부 API 유치를 병행해 플랫폼 경쟁력을 높이고, 파트너 기업과 함께 성장하는 지속가능한 BaaS 모델을 실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우리銀, '우월한 월급 통장' 친구초대 이벤트 진행
- 우리은행 WOORI가족봉사단, 전국 벽화그리기 봉사활동 진행
- 우리은행, 차병원과 손잡고 난임 부부 지원 나서
- 정진완 우리은행장 '내부통제' 드라이브…"지점장이 금고 관리, 대출 연체시 인사 불이익"
- 우리은행, 우투·하이서울기업협회와 함께 유망중소기업 육성한
- 우리은행, 알뜰폰 가입자 2만명... 통신비 아끼고 사은품 받고
- 우리은행, 금융과 예술 융합 ‘특별한 자산관리 세미나’ 개최
- 우리은행, 위비트래블카드 가입하고 환율우대와 10달러 받으세요
- 우리FIS 아카데미, 차세대 금융IT리더 88명 배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