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15개 점포 폐점 불가피, 추가 구조조정 계획은 없다”
“모든 직원 고용 보장” 전환 배치 방침 강조…폐점 점포 인력 불안 달래기 나서
인가 전 M&A가 유일한 회생 방안…“이해관계자 협력이 회생 성패 좌우”
![홈플러스 문래점. [사진=윤남웅 기자]](https://cdn.joongangenews.com/news/photo/202509/447798_248945_2124.jpg)
[중앙이코노미뉴스 윤남웅] 기업회생 절차(법정관리) 중인 홈플러스가 임대료 협상 결렬로 확정된 전국 15개 점포의 폐점을 공식화한 가운데 추가적인 구조조정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폐점 대상 직원들의 고용도 전환 배치를 통해 전원 보장하겠다는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4일 본지(중앙이코노미뉴스)가 홈플러스를 직접 취재한 결과, 회사 측은 “15개 점포 임대주들이 협상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아 폐점을 결정할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로서는 추가적인 점포 구조조정 계획은 없다”며 향후 대규모 축소 가능성에 선을 그었다.
앞서 홈플러스는 수원 원천·대구 동촌·부산 장림·울산 북구·인천 계산 등 5개 점포를 오는 11월 16일 먼저 문 닫고 서울 시흥·가양·일산·안산고잔·화성동탄·천안신방·대전 문화·전주완산·부산 감만·울산 남구 등 10개 점포를 연내에 순차적으로 폐점하기로 했다.
회사 측은 해당 점포들의 연간 영업손실이 800억 원에 달하는 반면 임대료만 700억 원에 달해 정상화가 어렵다고 설명한 바 있다.
“직원 고용 100% 보장, 유일한 회생 방안은 인가 전 M&A”
폐점으로 인한 직원 불안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 대해서는 고용 안정을 강조했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본지 취재에서 “폐점 점포 모든 직원들의 고용을 보장한다”며 “전환 배치를 통해 전원 재배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현재 직영 직원들을 대상으로 전환 면담이 진행 중이다.
홈플러스는 현재 서울회생법원이 승인한 인가 전 M&A 절차를 진행 중이다. 매각 주간사인 삼일PwC가 스토킹호스 방식으로 예비 인수자를 모집하고 있다.
회사 측은 “현재 가장 현실적이고 유일한 회생 방안은 인가 전 M&A”라며 “홈플러스가 다시 회생할 수 있도록 모든 이해관계자들의 지원을 부탁드린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