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25일 '실손24'2단계 확대 도입...준비상황 점검
소비자·의료기관 "편리해"응답…대국민 홍보 본격화

금융당국과 보험업계가 오는 10월 25일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 2단계 도입을 앞두고 의료·약업 단체, 그리고 EMR 업체까지 협의를 진행할 수 있도록 관련 관계기관과 논의를 진행했다. [사진=금융위원회 제공]
금융당국과 보험업계가 오는 10월 25일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 2단계 도입을 앞두고 의료·약업 단체, 그리고 EMR 업체까지 협의를 진행할 수 있도록 관련 관계기관과 논의를 진행했다. [사진=금융위원회 제공]

[중앙이코노미뉴스 문혜원] 금융당국과 보험업계가 오는 10월 25일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 2단계 도입을 앞두고 의료·약업 단체, 그리고 EMR 업체까지 협의를 진행할 수 있도록 관련 관계기관과 논의를 진행했다.

금융위원회는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금융산업국장 주재로 금융감독원, 보험개발원, 생·손보협회와 유관기관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요양기관의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 시스템(실손24) 참여 및 준비상황을 점검하고, 확대 시행 관련 협의 내용을 다뤘다.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이하 청구전산화)는 지난해 10월 25일 병원급 의료기관과 보건소(1단계, 약 7.8천개)를 대상으로 우선 시행됐다. 오는 10월 25일부터는 의원 및 약국(2단계, 약 9.6만개)까지 확대 시행될 예정이다.

지난 5일 기준 전국에서 6757개 요양기관이 청구 전산화 '실손24'에 참여 중이다. 참여기관 개수 기준 1단계 참여율은 59.1%다.

아직 개정 보험업법 시행 이전이나, 선제적으로 참여한 의원·약국은 약 2.2%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은 보험업법 개정 시행 전부터 체인약국, 전자의무기록(EMR) 업체와 협력해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아울러 금융당국과 보험업계는 청구 전산화 확산을 위해 의료·약업 단체, 그리고 EMR 업체와 여러 차례 협의도 진행했다. 

참여기관은 △서버비 △시스템 개발비 △유지보수비 등 재정적 지원을 하고 있다. 다만, 일부 병의원에서는 과도한 수수료를 요구하는 등 의견 차이가 남아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소비자 설문조사에서는 청구 전산화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소비자단체 소비자와함께의 조사에 따르면 설문 응답자의 89%가 기존 보험금 청구 방식보다 청구 전산화가 더 편리하다고 평가했다. 

여기서 94%는 앞으로도 실손24 이용 의향을 밝혔다. 87%는 유사한 진료과라면 전산화 기관을 우선 선택하겠다고 답했다. 이들은 △종이서류 발급 없이 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다는 점(86%) △재방문 등 시간적 비용이 줄어드는 점(50%) 등을 주요 장점으로 꼽았다.

의료기관 역시 청구서류 발급에 따른 행정부담이 줄었고(67%), 환자 서비스 만족도가 높아졌다(79%)고 응답했다. 또한, 전산화가 행정 효율화에 도움이 될 것(62%)이란 기대도 보였다.

금융위는 이러한 설문조사에 발맞춰 오는 11일부터  '실손24'대국민 홍보를 실시키로 했다. 홍보활동은 플랫폼 통해 이뤄진다.

구체적으로 △주요 플랫폼(네이버, 카카오, 유튜브 등) △대중교통(버스정류장, 지하철역) 등에 '실손24'를 광고하고, 특히 비대면 진료앱(예: 닥터나우) 및 의약품 온라인몰(예: 블루팜), 약국 봉투 등 광고를 통해 의료기관 종사자에게 '실손24'를 적극적으로 알릴 계획이다.

또한 국민이 '실손24'에 참여하는 요양기관을 쉽게 인지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실손24' 참여 인증 스티커 및 포스터 등 홍보물품을 요양기관에 제공할 예정이다.

이밖에도 금융당국 및 유관기관은 다양한 청구전산화 활성화 방안을 검토·추진할 계획이다. 주로 △소비자의 서비스 효용도 제고 △요양기관 및 EMR의 참여 유인 확대 △의료행정과의 연계방안 등을 중심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한편, 금융위는 이번 점검회의를 통해 차질 없는 2단계 시행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추후 관계부처 협의 및 보건의료단체 등 의료계를 포함하는 '실손전산운영위원회(보험업법 법정 회의체)'에서 청구전산화 활성화를 위한 과제들을 논의하고 발표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중앙이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