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유영하 “LBO로 인수 뒤 자산 팔아 이자 갚아... 카드사 통해 신용공여 확대”
민주 유동수 “홈플러스 계속기업가치보다 청산가치 더 높아... 파산 가능성 높다”
김병주 “법인·개인 자금 여력 부족” 답변에 여야 “면피만 반복” 비판
![국정감사 출석해 의원 질의 듣는 김병주 회장. [사진=연합]](https://cdn.joongangenews.com/news/photo/202510/457551_259281_297.jpg)
[중앙이코노미뉴스 윤남웅] 홈플러스 기업회생 사태와 롯데카드 해킹 사고 등으로 각종 구설에 휩싸인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이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한 가운데 여야 의원들의 질타가 쏟아졌다.
국민의힘 유영하 의원은 홈플러스가 롯데카드와 기업구매카드 약정을 맺고 이후 신용등급 기준까지 낮춰 관련 금액이 증가한 것을 언급하며 “MBK가 홈플러스의 부채를 외주화했다”고 지적했다.
더불어민주당 MBK 홈플러스 TF 단장을 맡고 있는 유동수 의원은 “지금 상태에서는 홈플러스의 파산이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정치권에 따르면 지난 14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국민의힘 유영하 의원은 MBK를 ‘약탈적 헤지펀드’로 지칭하면서 “홈플러스 사태의 본질은 사모펀드가 계열사인 카드사와 합작해서 선진금융기법이라 하면서 홈플러스 부채를 외주화시킨 것”이라고 지적했다.
유영하 의원은 “처음에 MBK가 LBO 방식으로 인수하고 난 다음 홈플러스 매출이 떨어지고 이자 부담이 발생하니 자산을 팔아 이자를 메꾸고 투자금을 갚았다”며 “그런데 임대료가 높아지니 유동성이 부족해지자 롯데카드 기업구매카드 약정을 이용해 신용공여를 확대했고, 자산유동화 전단채를 사용해서 초단기자금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질의를 통해 유영하 의원은 “홈플러스가 기업회생 신청하고 나서 롯데카드가 받지 못한 금액이 793억원”이라며 “딜라이브, 네파, 두산공작기계, 엠에이치앤코, 홈플러스 등 MBK가 인수한 기업들은 롯데카드 기업구매카드로 신용공여를 확대했다”고 주장했다.
유영하 의원은 “대기업들은 계열사에 자금 지원을 하게 되면 당국에 걸리지만 MBK는 사모펀드이기 때문에 법적 사각지대가 존재한다”며 공정거래위원회와 금융감독원 등 당국에 제도 개선을 촉구했다.
유동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점점 어려워질수록 훨씬 더 악순환의 고리에 빠진다”며 “지금 상태에서는 (홈플러스의) 파산이 불가피해 보인다”고 밝혔다.
유 의원은 삼일회계법인이 작성한 홈플러스 조사보고서도 거론하며 “보고서에 따르면 홈플러스의 계속기업가치는 2조5천억원이고 청산가치가 3조7천억원”이라며 “청산가치가 계속기업가치보다 1조원 이상 높으면 법원이 청산하라고 판단을 내릴 확률이 높지 않겠느냐”고 지적했다.
이어 “집을 팔 때도 살 사람이 살 수 있는 가격에 맞춰줘야 한다”며 “인수희망자가 내세우는 인수 조건에 맞추기 위해 2천억원 (증여 약속) 빼고 어떤 노력을 했느냐”고 추가 사재출연 의향을 질의했다. 이에 김병주 회장은 “우리 법인과 개인의 자금 여력이 부족하다”며 어렵다는 취지로 답변했다.
유동수 민주당 의원은 최근 MBK가 언론에 배포한 ‘국민 여러분께 드리는 말씀’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유 의원은 “사과문을 보면 인가 전 M&A 인수인의 자금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최대 2천억원을 홈플러스에 무상으로 추가 증여하겠다고 돼 있다”며 “인수인을 찾기 전에 홈플러스가 파산하거나 인수자가 나타나지 않으면 2천억원을 증여하지 않겠다는 뜻으로 해석이 된다”고 캐물었다.
- [2025 국감] MBK 김병주 발언에 여권 ‘격앙’...“홈플러스 M&A 도와달라니 국회 우롱”
- [기자수첩] 사과했지만 책임은 없었다...국감에서 “모른다”로 일관한 MBK 김병주 회장
- [2025 국감] MBK 김병주, 국감서 ‘모른다’만 남겼다
- [2025 국감] “먹튀 논란 피할 수 없다”...여야, MBK 김병주 향해 집중 포화
- [2025 국감] “홈플러스는 내 권한 아니다”…김병주 MBK 회장, 국감서 책임론 선 긋기
- [2025 국감] 공정위, MBK 겨냥 ‘강경 모드’... 주병기 위원장 “위법행위 엄정 제재”
- [2025 국감] “영업기밀로 제출 불가?”...MBK, 국회랑 정면 충돌하나
- [기자수첩] 국회 호출 회피하는 김병주 MBK 회장...언제까지 피할 수 있을까
- 297만명 피해에도 MBK 회장 청문회 불출석...“보안투자 약속 믿기 어렵다”
- MBK “보안 강화” 주장 vs 국회 “투자 축소” 지적...엇갈린 롯데카드 해명
- ‘홈플러스 불출석’ 김병주, 롯데카드 해킹 청문회는 나올까
- 홈플러스·롯데카드·고려아연 사태...중심엔 MBK가
- 홈플러스 전단채 피해자들 "신영증권, 불완전판매 인정하고 선·가지급금 지급해야"
- 홈플러스 매각, 첫 단추부터 어긋났다...‘적자 기업만 참여’로 사실상 무산 수순
- “이게 회생인가, 연명인가”...홈플러스 매각, 코미디로 전락
- 홈플러스, 900억 체납에 M&A 난항… MBK 10년 경영 도마 위
- "폐점 보류인데 고별세일?"...홈플러스, 회생과정 속 시장 혼란 극대화
- “제2 론스타 막아야” MBK 향한 경고 커진다... 사모펀드식 약탈 경영 논란 확산
- 홈플러스·롯데카드 논란에도...MBK, 고려아연 계속 '정조준'
- 지난해 회계법인 매출 6조↑…'빅4' 이사 보수 평균 8억원
- MBK, 제재·수사·회생·연기금 ‘4중고’ 직면
